본문 바로가기

세상의 모든 지식

홍수위험지도, 침수지도 바로보기 시스템

요즘 흔히 볼 수 없었던 강력한 강우량으로 침수나 홍수가 나는 지역이 많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이에 미리 대비해서 막을수 없을지라도 위험을 미리 알고 피해가는 방법이 있다는 것은 알고 있어야 합니다.

 

홍수위험지도와 침수지도 내 위치에서 바로 알수 있을까?

우리는 이미 많은 매체나 프로그램으로 호우주위보와 같은 경계 경보는 알 수 있었다. 그렇지만 비가 많이 오는건 알겠으나 이 비가 어느지역에 집중적으로 내려서 홍수나 침수를 만들어 내는지는 둔감한것이 사실이다.

 

특히 저지대 침수로 인해서 인명피해가 속출하고 있고, 멀쩡한 고속국도에서 지하도 침수로 인해 안타까운 죽음을 맞이한 사실도 뉴스를 통해서 보고 있다.

 

홍수위험지도와 침수지도 어디서 어떻게 볼 수 있나?

일단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사이트 부터 제공하겠습니다.

 

https://floodmap.go.kr/fldara/fldaraList.do

 

홍수위험지도 정보시스템

검색된 내용이 없습니다.

floodmap.go.kr

 

홍수 위험지도의 근거

홍수위험지도는 지역 내 홍수 위험이나 잠수 위험이 높은 지역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지도입니다. 이러한 지도는 특히 홍수로 인한 잠수, 토지 침수, 인명과 재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홍수위험지도를 작성하려면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칩니다:

자료 수집: 홍수위험지도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지역 내 홍수 기록과 데이터를 수집해야 합니다. 이는 과거 홍수 발생 기록, 지형 및 지하수 정보, 강의 유량 및 수위 데이터 등을 포함합니다.

 


위험평가: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홍수 위험을 평가합니다. 이는 강우량, 토지 경사도, 지하수 차수, 강의 수위 등 여러 변수를 고려하여 위험 정도를 결정합니다.

GIS (지리정보시스템) 활용: 위험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GIS 기술을 사용하여 지도를 작성합니다. GIS를 활용하면 지형, 하천, 도로, 건물 등 다양한 정보를 공간적으로 시각화하여 홍수 위험지도를 만들 수 있습니다.

등고선 및 색상 사용: 등고선을 이용하여 지형의 높낮이를 표시하고, 색상을 사용하여 홍수 위험 정도를 나타냅니다. 높은 홍수 위험이 있는 지역은 빨간색으로 표시되고, 낮은 위험 지역은 파란색으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정보 제공: 완성된 홍수위험지도는 해당 지역의 주민과 관리자들에게 제공되어 홍수 발생 시 대비 및 대응을 돕습니다. 이를 통해 효과적인 홍수 관리와 재해 예방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국가 및 지역마다 홍수 위험지도의 구체적인 내용과 활용 방법이 다를 수 있으며, 해당 국가 또는 지역의 관련 기관과 당국에 문의하여 보다 자세한 정보를 얻는 것이 좋습니다.